소란맘의정보
통신사 해지하고 싶은데… 위약금, 그대로 내야 하나요?
소란맘
2025. 5. 6. 22:54
728x90
반응형
요즘 SK텔레콤 유심 유출 사건 이후로
통신사 옮기려는 분들 많죠.
근데!
문제는 위약금.
“내 잘못도 아닌데 왜 내가 물어야 하죠?”
라는 말, 요즘 커뮤니티에도 진짜 많아요.
오늘은 이 위약금,
정말 무조건 내야 하는 건지,
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
정리해봤습니다.
✅ 위약금이란?
약정 기간 중에 통신사 이용을 중단하면
할인받은 금액을 다시 토해내는 구조
→ 요금제 할인 + 기기할부 할인 둘 다 해당
📌 약정 종료일 가까울수록 위약금은 줄어듭니다.
📌 기기값이 남아있다면 ‘할부금’과 ‘위약금’은 별개!
🚨 SKT 유심 유출 논란이 더 짜증나는 이유
- 정보 유출은 통신사 책임인데
- 해지하려면 고객이 위약금을 내야 함
- 소비자 단체들: “이건 감면 대상 돼야 한다”
📣 아직까지 공식적인 위약금 면제나 보상안은 없음
💡 위약금 줄일 수 있는 3가지 팁
- 약정 기간 확인 필수!
→ My페이지 > 가입정보 > 약정 종료일 확인
→ 보통 3개월 이내는 감면율 올라감 - 가족 명의로 옮기는 ‘명의이전’ 활용
→ 가족 간 명의 이전은 위약금 면제 대상이 되기도 함
→ 단, 기기값은 그대로 남음! - 고객센터 직접 문의 + 해지 사유 설명
→ 간혹 ‘부분 감면’ 처리되는 사례 있음
→ 특히 유심 관련 이슈 언급 시 케이스별 검토 가능성 존재
📦 참고로, 다른 통신사도 똑같이 위약금 있음!
통신사기본 약정 기간위약금 유형
SKT | 24개월 기본 | 요금할인 위약금, 기기값 잔액 |
KT | 24개월 기본 | 요금할인 위약금, 기기값 잔액 |
LG U+ | 24개월 기본 | 요금할인 위약금, 기기값 잔액 |
→ 번호이동 전에 꼭 위약금+기기값 계산 먼저!
🔚 마무리
유심 정보 유출, 고객 입장에선 너무 화나는 일이죠.
그런데 통신사 해지를 고민하더라도
위약금 구조는 계약 기준이라 조심해야 합니다.
그래도 위약금 감면 받을 수 있는 방법은 있으니
계약서 확인 + 고객센터 문의는 꼭 해보세요!
반응형
LIST